HANA : Have A Nice AI

모두를 위한, 하나를 위한 AI

ai 3

[논문요약] GDCN(Gated Deep Cross Net, 2023) - 추천 AI의 핵심 트렌드

*크롬으로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https://arxiv.org/pdf/2311.04635v1종합 : ⭐⭐⭐⭐1. 논문 중요도 : 4 점2. 실용성 : 4 점설명 :  추천 시스템에 주요 트렌드를 적용한 논문   - Cross Network를 활용하여 Feature Interaction을 활용   - Information Gate를 활용하여 중요한 상호작용(Interaction)을 동적(dynamic)으로 필터링   - Embedding Layer의 Field별 중요도에 따라서 dimension 압축   - 2023년 기준으로 SOTA (24년도에는 DCVN v3가 리더보드를 갱신했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음)( * 개인적인 의견이며, 제 리뷰를 보시는 분들에 도움드리기 위한 참고 정도로 봐주세요)딥러..

2)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자격 : 학력과 학과일까? - 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AI 전문가) 취업 설명회에서 받았던 첫 질문이었다. “경영학과인데 파이썬를 공부해야 할까요?” “또, 저는 좋은 학교가 아닌데, 데이터 분석 관련 일을 할 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이었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ata Scientist)라는 직무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학력과 학과"에 대해 고민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 또한, 관련된 고민이 많았었다. 내가 처음 AI 직무로 취업할 때 "석사 이상"이라는 필수조건이 심심치 않게 보였기 때문이다. 높은 연차가 아님에도, 면접관으로 참여하면서 경험하고 배운 점 덕분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고 싶은 분들의 "학력과 학과"에 대한 고민을 답하고자 한다. 나의 답은 다음과 같았다. "우리는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을 뽑는다." "그..

1) 진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되는 법

글로벌 대기업 중심으로 초거대 AI가 개발되고, 상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AI 트렌드(초거대 AI)를 따라가려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으며.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초거대 AI를 활용하거나, 직접 중소형 AI 모델을 만들려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초거대 AI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아니면 직접 AI 모델을 만들 수 있겠지만, 결국은 그 AI를 어떻게 활용할지. 어떻게 모델을 구축할지는. ○ Data Scientist ○ AI 전문가 가 만들어 갑니다. 이 글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나 AI 전문가가 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적어봅니다 ○ 그렇기에, 이 내용은 동생이나 후배, 친구를 위해. 좀 더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작성했습니다 ○ 그렇기에, 기술적인 내용..